Algorithm/BOJ
[백준 17436] 소수의 배수
giiro
2020. 9. 6. 14:18
문제
17436번: 소수의 배수
첫째 줄에 N(1 ≤ N ≤ 10)과 M(1 ≤ M ≤ 1012)이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N개의 소수가 주어진다. 입력으로 주어지는 소수는 100보다 작거나 같으며, 같은 소수가 두 번 이상 주어지지 않는다.
www.acmicpc.net
문제 풀이
m의 범위를 못보고 계속 int형으로 제출해 삽푼문제였다.
1. 우선 m에 대해 각각의 소수로 나눴을 때 나누어 떨어지는 개수를 모두 세어보면 m/p[0] , m/p[1] ...등이 있을 것이다.
2. 이 때 간단한 예시를 통해 생각해보면 중복으로 카운트되는 수들이 존재하는 걸 알 수 있다.
- m = 30, p[0]= 2 ,p[1] = 3 일 때, p[0]에선 2,4,6...30 p[1]에선 3,6,9...30 // 6의 배수가 중복으로 카운트
3. 백트래킹으로 가능한 소수의 조합을 모두 구한뒤, 포함배제원리를 사용해 개수를 관리해준다.
코드
#include <bits/stdc++.h>
using namespace std;
int n;
long long m, ans, gop;
vector<int> p, picked;
void go(int st, int topick) {
if (topick == 0) {
gop = 1;
for (int i : picked) gop *= p[i];
if (picked.size() % 2) ans += m / gop;
else ans -= m / gop;
return;
}
for (int i = st + 1; i < n; i++) {
picked.push_back(i);
go(i, topick - 1);
picked.pop_back();
}
}
int main() {
cin.tie(NULL); cout.tie(NULL);
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
cin >> n >> m;
p.resize(n);
for (int i = 0; i < n; i++)
cin >> p[i];
for (int i = 1; i <= n; i++)
go(-1, i);
cout << ans;
}