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아직도 얼떨떨하다. 블라인드 채용이라고 해도 졸업 연도를 기재해야 했기에 현재 3학년 재학 중이라 현실적으로 붙을 수 있을지 정말 몰랐고, 매 전형마다 최선을 다해야겠다는 마음가짐으로 임했는데 운이 정말 많이 따라주었던 것 같다. 1,2차 코딩 테스트에 대해서는 앞선 글로 작성하였기에 서류, 면접을 어떻게 준비했는지에 대해서 일기처럼 남겨야겠다 … 2차 코딩테스트 합격 후, 서류 접수 자기소개서 같은 서류는 올해 여름 연합 개발 Y동아리에 지원하고 서류 탈락한 경험밖에 없었다. 1주일 동안 시간 날 때마다 최선을 다해서 적었던 것 같은데 떨어져서 당시에 아직도 많이 부족하다고 느꼈었다.. 이번엔 그때와 다르게 짧은 기간(4~5일) 안에 3천 자 정도를 작성해야 했고, 제출하는 서류를 기반으로 면접을 보는..

1. CS 테스트 종이를 써가며 푼 문제도 있었고 사소한 내용도 있었습니다. 전공 공부하며 한 번씩 보았던 것 같기도 한데, 아무튼 개인적으로 느끼기에 막 어렵지도 않고 쉽지도 않았던 것 같습니다. 2. 코딩 테스트 작년에는 REST, API에 대해서 잘 모를뿐더러 파이썬도 익숙지 않아 문제만 읽어보고 탈주했지만,, 올해는 해볼 만하다고 생각해서 종료시간인 7시까지 응시했습니다. 시작하자마자 빠르게 API를 짜고, 문제를 읽었는데 뭔가 딱 생각나는 방법이 없어 한 4시까지 0점으로 스코어 보드 구경하고 있다가 긁어나 보자 하고 의식의 흐름대로 구현한 게 380점 정도가 나왔습니다. 이 때 구현한 코드로 끝날 때까지 계속 고치고 고쳐서 최종적으로 420점 언저리까지 긁고 마무리했습니다. 아쉬운 점이라면 2..

작년에 이어서 두 번째로 응시해본 코딩테스트였습니다. 1번 (AC) 적절히 파싱을 하고, map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. 2번 (AC) 0을 기준으로 양옆으로 뭘 계속하길래 분할정복 냄새가 살짝났는데 조금 더 생각해보니 0을 기준으로 split하여 나눠진 수들에 대해 소수인지 O(sqrt(n))에 판별해주면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. 3번 (AC) 들락 날락하는 예제가 없었다면 해매기 쉬웠을텐데 예제가 자세하게 서술되어있어서 금방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. (파싱은 stringstream을 이용하면 너무 편합니다..) 4번 (WA/ TC 2개) 아무리 생각해도 완탐으로 "이길려면 1개 더많이, 지면 0개로 깔끔히 패배, 남은건 0점에 올인" 을 만족하는 점수배치를 찾는 문제였는데, 한 시간..
1. 상속관계 매핑 ORM에서 상속관계 매핑은 부모 클래스에서 Inheritance 어노테이션을 사용합니다. 이 때 관계모델을 구현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 (1) 각각의 테이블로 변환 (@Inheritance(stragy = InheritanceType.JOINED) @Inheritance의 전략을 JOINED으로 설정하면 자식 테이블들을 DTYPE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상속받는 자식 테이블을 각각 만들고, 부모 테이블의 PK를 자식 테이블의 PK이자 FK로 사용합니다. 이를 통해 다른 테이블에서 부모 테이블만 보도록 설계할 수 있습니다. (2) 단일 테이블로 변환 (@Inheritance(stragy = InheritanceType.SINGLE_TABLE) @In..
문제 https://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84021 코딩테스트 연습 - 3주차 [[1,1,0,0,1,0],[0,0,1,0,1,0],[0,1,1,0,0,1],[1,1,0,1,1,1],[1,0,0,0,1,0],[0,1,1,1,0,0]] [[1,0,0,1,1,0],[1,0,1,0,1,0],[0,1,1,0,1,1],[0,0,1,0,0,0],[1,1,0,1,1,0],[0,1,0,0,0,0]] 14 [[0,0,0],[1,1,0],[1,1,1]] [[1,1,1],[1,0,0],[0,0,0]] 0 programmers.co.kr 풀이 1. 우선 해야 하는 걸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. 1. 게임 보드의 서로 인접한 빈 공간 좌표 집합들을 구합니다. 2...
1. @RequestBody, @ModelAttribute, @RequestParam 클라이언트의 요청 값을 객체로 바인딩하는 데에 사용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지만 서로 차이점이 존재한다. 어노테이션 없이 파라미터로 단순 타입이 들어오는 경우 → @RequestParam이 생략된 것이라고 여김 그 외의 나머지 경우 → @ModelAttribute가 생략된 것이라고 여김 @RequestParam = 한 개의 Http요청 파라미터를 받기위해 사용함. 기본값으로(required = true)이기에 false로 바꿔주지 않는 이상 반드시 파라미터가 존재해야 함 @RequestBody = 클라이언트가 전송한 HttpBody내에 있는 JSON형식의 내용을 객체로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함. @ModelAtt..
1. 어노테이션 @RequestMapping ↔ @GetMapping, @PostMapping 서로 대체가능한 어노테이션이다. 단지 후자를 사용하면 method를 일일이 get, post로 지정해줘야했던 것을 적지 않아도됩니다. ( 사실 두 개 다 열어보면 @RequestMapping(method = RequestMethod.GET)와 같이 RequestMapping)을 사용함) @Enumerated(EnumType.STRING) JPA로 db에 저장할 때 Enum값을 어떤 형태로 저장할지를 결정합니다. (디폴트는 EnumType.ORIGINAL이지만 중간에 enum값을 추가, 삭제할 경우 문제가 발생하므로 사용하지x) @EnableWebSecurity Spring Security설정들을 활성화시켜줌 2..

스프링 공부하며 공부한 내용을 정리합니다 ··· 1. @Controller vs @RestController @Controller는 주로 view를 반환하기 위해 사용하지만 @RestController는 Json(xml 등..) 형태로 객체 데이터를 반환합니다. 즉, RestController는 @Controller의 역할에 @Responsebody가 추가된 것입니다. 2. Mockmvc VS TestRestTemplate 두 개 모두 처음 접해 무슨 역할을 하는지 몰랐지만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. MockMvc는 서버 입장에서 구현한 API를 통해 비즈니스 로직이 문제없이 수행되는지 테스트를 할 수 있다면, TestRestTemplate은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RestTemplate을 사용하듯이 테스..
문제 https://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81303 코딩테스트 연습 - 표 편집 8 2 ["D 2","C","U 3","C","D 4","C","U 2","Z","Z"] "OOOOXOOO" 8 2 ["D 2","C","U 3","C","D 4","C","U 2","Z","Z","U 1","C"] "OOXOXOOO" programmers.co.kr 풀이 당시에 풀 때도 링크드리스트로 풀다가 삽질하고 set으로 방향을 틀었던 기억이 나는데 문제를 꼼꼼히 안읽으면 우왕좌왕 해매기 쉬운문제였던 것 같습니다. 다시 링크드리스트로 구현해봐야지,, 1. 주의 깊게 봐야하는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. ※ "이름"열에는 서로 다른 이름들이 중복없이 채워져 있다고 가정..
문제 https://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81302 코딩테스트 연습 - 거리두기 확인하기 [["POOOP", "OXXOX", "OPXPX", "OOXOX", "POXXP"], ["POOPX", "OXPXP", "PXXXO", "OXXXO", "OOOPP"], ["PXOPX", "OXOXP", "OXPOX", "OXXOP", "PXPOX"], ["OOOXX", "XOOOX", "OOOXX", "OXOOX", "OOOOO"], ["PXPXP", "XPXPX", "PXPXP", "XPXPX", "PXPXP"]] [1, 0, 1, 1, 1] programmers.co.kr 풀이 1. 5개의 대기실마다 검사를 해야하므로 하나의 대기실에 대해 검사하는 함수를 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카카오 2021
- 누적합
- 카카오 인턴십
- 프로그래머스 위클리 9주차
- 2022 KAKAO BLIND RECRUITMENT
- 파싱
- 프로그래머스
- 시뮬레이션
- 투포인터
- BFS
- 카카오 2차코딩테스트
- 동적계획법
- Kakaoblind
- 2022 카카오블라인드
- 카카오 표 편집
- 표 편집
- DP
- 2022 카카오 블라인드 코딩테스트
- 2021 KAKAO BLIND
- 카카오 2020 인턴십
- 프로그래머스 월간코드챌린지
- 유니온파인드
- 게임이론
- 트리
- 2021 카카오 블라인드
- 이분탐색
- 2020 KAKAO BLIND RECRUITMENT
- 구현
- 위클리 챌린지
- 백준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